소논문 작성에 필요한 사전 지식~ 빈출 테마2편
안녕하세요. 아카츠키(暁)입니다.
오늘은 저번 포스팅에 이어 소논문 빈출 테마에 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소논문 빈출테마4~経済・ビジネス
終身雇用制度の是非
일본의 종신 고용 제도는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인 노동 환경을 제공해왔지만,
경제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종신 고용 제도는 고용 안정과 노동자의 충성심을 유도하고, 장기적인 인재 양성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노동 시장의 유동성 저하와 연공서열이 중시하는 문화로 인해 연차가 낮은 노동 인구의 의욕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소논문에서는 종신 고용 제도의 장단점을 따져 종신고용제도에 대한 의견을 서술하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日本企業のグローバル競争力
일본 기업은 예로부터 제조업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지만,
디지털 분야의 성장 둔화로 인해 미국, 중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대학 입시 소논문에서는 일본 기업의 강점과 약점을 정리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ベーシックインカムは導入すべきか?
기본 소득이란 정부가 모든 국민에게 최저한의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 제도는 사회 보장 개혁이나 빈곤 대책의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재정 확보나 노동 의욕 저하 등의 과제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소논문 문제로는 기본 소득 제도에 대한 찬반을 묻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DX(デジタルトランスフォーメーション)の影響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이란, 디지털기술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모델이나 사회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혁하는 것을 말합니디.
AI, IoT,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 변혁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업이나 행정, 교육 등 여러가지 분야에서 DX가 필요해지고 있습니다.
DX 추진은 기업이나 사회에 필수적인 변혁으로 경제 활성화나 업무 효율화를 가져오지만,
한편으로는 격차 심화나 노동 시장의 변화 등의 과제도 동반합니다.
소논문에서는 기술 변혁의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균형 있는 의견을 서술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副業解禁と働き方改革
일본에서는 일터 혁신(働き方改革)의 일환으로, 소속 기업에 재직 중에도 부업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부업이 금지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일본은 2018년 [모델 취업규칙]개정을 통해 부업을 용인하게 되었죠.
부업 허용은 추가 수입 창출과 개인 역량 강화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동시에 과로나 정보 유출 같은 리스크도 수반됩니다.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의견을 서술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소논문 빈출테마5~倫理・哲学
幸福とは何か?
“행복”은 인간이 추구하는 가장 근원적인 주제 중 하나로,
그 정의는 개인의 가치관과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절대적인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철학, 심리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며,
일반적으로 ‘주관적 행복(개인의 만족감)’과 ‘객관적 행복(경제적·사회적 풍요)’의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됩니다.
행복을 정의하고 그것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서술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自由」と「責任」はどのように関係しているか?
모든 사람은 자신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행동할 권리를 가지며,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할 의무도 있습니다.
자유와 책임의 관계를 정리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 규범, 국가 제도 간의 균형을 어떻게 유지해야 하는지를 고찰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SNS時代における「プライバシー」と「表現の自由」
SNS의 보급으로 인해 표현의 자유는 크게 확대되었지만, 동시에 프라이버시 침해와 비방 중상 등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두 가지 가치가 어떻게 균형을 잡아야 하는지 논의하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倫理的消費(エシカル・コンシューマリズム)は必要か?
윤리적 소비는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때 환경, 근로자 권리, 동물복지 등 사회적·윤리적 측면을 고려하는 소비 행태를 의미합니다.
윤리적 소비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및 지속가능한 개발과의 연계성을 논의하고,
현대 소비사회에서 윤리적 소비가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個人の幸福」と「社会の幸福」は両立できるか?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행복은 겉으로 보기에는 서로 상충하는 개념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개인의 행복 추구가 사회 전체에 불이익을 가져올 수 있지만, 사회의 행복을 우선시할 경우 개인의 자유가 제한될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두 가지가 서로 보완하고 지지할 수도 있습니다.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행복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서로 양립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소논문 빈출테마6~文化・芸術
伝統文化とグローバル化の関係
지역이나 국가에 뿌리를 두고 독자적인 문화와 습관을 발전시킨 전통문화와,
국경을 넘어 경제, 정보, 문화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글로벌화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면서도 때때로 대립하는 관계에 있습니다.
전통문화와 글로벌화가 어떻게 상호 간에 관련되고, 조화를 이루거나 갈등을 빚는지에 대해 서술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日本文化の魅力を世界に伝えるには?
전통 문화부터 현대 팝 문화까지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일본 문화는 그 독자성과 깊이로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세계에 전달할 것인가는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일본 문화를 세계에 전파하기 위한 방법을 고찰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서술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サブカルチャー(アニメ・漫画・ゲーム)の社会的影響
일본의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등 서브 컬쳐(하위 문화)는 국내외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며,
문화와 경제 전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같은 서브 컬쳐가 단순한 오락을 넘어서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술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日本語の将来(外来語の影響、AI翻訳技術の発展)
외래어나 AI 번역기술의 발전은 일본어의 변화와 진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일본어의 문법, 어휘, 표현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앞으로 일본어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지에 대한 논의가 중요해질 것입니다.
외래어의 영향과 AI 번역기술이 일본어에 미치는 변화를 고찰하고 그 미래를 탐구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소논문 빈출테마7~国際関係・政治
国際協力の重要性(SDGs・気候変動対策)
グローバル化とナショナリズムの対立
현대 사회에서는 세계화와 내셔널리즘 간의 갈등이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글로벌화는 국제적인 교류와 경제 활동의 확산을 촉진하며, 세계가 하나의 시장으로 연결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반면, 내셔널리즘은 자국의 독자성과 이익을 우선시하는 입장으로, 두 가지는 종종 대립하게 됩니다.
이 갈등의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民主主義の未来(ポピュリズムの台頭)
포퓰리즘(대중주의, 인민주의)은 정치가 민중의 일반 의지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데올로기입니다.
이 이데올로기는 민중의 의견을 중요시하며 국정을 운영한다고 주장하지만,
종종 엘리트와의 대립 구조를 형성하고 과격한 정책이나 배외적인 사상을 내세우기도 합니다.
이러한 포퓰리즘의 대두가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과 그 미래에 대해 고찰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日本の外交戦略(米中関係、日韓関係)
일본의 외교 전략은 미·중 관계, 한·일 관계 등 이웃 나라 및 세계 대국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에서의 미중 파워 밸런스와 역사적 배경을 가진 한일 관계의 개선은 일본의 외교 정책에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본의 외교 전략에 대해 고찰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国連の役割と限界
UN(국제연합)은 국제사회에서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전쟁 방지, 인권 옹호, 빈곤 감소, 환경 보호 등 다양한 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회원국들의 이해관계 차이와 결속력 부족뿐만 아니라, 결정이 강제력이 없고 경제적 자원 부족등 유엔의 역할에 한계도 존재합니다.
UN의 역할과 그 한계에 대해 논의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소논문을 작성할 때는 근거를 제시하며 논리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특히, 시사적인 요소나 최신 사회 동향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뉴스나 사회적 변화에 대한 주의 깊은 체크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폭넓은 시각을 가지고 주제를 다루면, 더 깊이 있고 설득력 있는 소논문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