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논술(소논문, 작문) 연습 – 로봇 이용의 확대(500자)
안녕하세요. 아카츠키(暁)입니다.
오늘은 일본어 논술 연습(500자)을 해 보겠습니다.
기술 문제 지문
오늘 다룰 주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以下のテーマについて、500字程度で書いてください。(句読点を含む)
社会の中でロボットが今より使われるようになっていくと、どんなことが起こるか。
メリットとデメリットの両方に触れながら、あなたの考えを述べなさい。*
*해석 : 사회에서 로봇이 지금보다 더 사용되게 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좋은 점과 나쁜 점을 모두 언급하면서, 당신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현재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해서 이를 막을 수 없을 정도로
로봇을 비롯한 각종 기계 장치는 이미 우리 삶 곳곳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로봇의 장단점을 분석한 후, 로봇과 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구조로 전개될 것입니다.
본격적인 글의 구성(뼈대)을 생각하기 전에, 필요한 사전 지식을 먼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전지식으로 알아둘 것
ロボット의 정의
ロボット(robot) 1 電気・磁気などを動力源とし、精巧な機械装置によって人間に似た動作をする人形。人造人間。 2 目的の作業・操作をコンピューターの制御で自動的に行う機械や装置。人間の姿に似るものに限らない。自動機械。「産業ロボット」 デジタル大辞泉、ロボット、コトバンク
지문에서 [로봇]은 [목적으로 하는 작업이나 조작을 컴퓨터 제어로 자동 수행하는 기계 또는 장치]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AI의 정의
人工知能(読み)ジンコウチノウ(その他表記)artificial intelligence コンピューターで、記憶・推論・判断・学習など、人間の知的機能を代行できるようにモデル化されたソフトウエア・システム。 デジタル大辞泉、人工知能、コトバンク
로봇은 물리적인 하드웨어가 포함된 기계이고
AI는 소프트웨어로, 기억, 추론, 판단, 학습등 인간의 지적능력을 흉내낼 수 있습니다.
로봇과 AI(인공지능)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 AI를 탑재한 로봇*도 존재합니다.
*AI가 적용된 로봇청소기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AI가 발전함에 따라 로봇의 기능도 더욱 지능화되고 있습니다.
로봇이 사용되는 社会の様々なところ
- 공장 및 제조업
- 자동차 공장의 조립 로봇
- 전자 기기의 정밀 부품을 조립하는 로봇
- 물류 창고에서 화물을 분류하고 운반하는 로봇
- 서비스업
- 음식점에서 음식을 서빙하는 로봇
- 무인 로봇 카페에서 음료를 제조하는 로봇
- 교통 및 인프라
- 자율주행 버스 및 택시
- 기차역에서 안내 및 청소를 담당하는 로봇
- 의료 및 간호
- 수술 보조 로봇 (예: 다빈치 로봇)
- 환자의 재활을 돕는 로봇
- 요양 시설에서 노인과 대화하고 돌봐주는 로봇
- 농업
- 농작물을 수확하는 로봇 (예: 딸기나 토마토 자동 수확기)
- 모내기 및 제초 작업을 하는 로봇
- 드론을 활용한 농약 살포 및 토양 분석
- 경비 및 보안
- 쇼핑몰이나 기차역을 순찰하는 경비 로봇
- 위험 지역(원자력 발전소나 재난 현장)에서 작업하는 로봇
- 연구
- 우주 탐사 로봇 (예: NASA의 ‘큐리오시티’, 일본의 ‘하야부사’)
- 심해 탐사 로봇 (예: ‘신카이 6500’)
이처럼 로봇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널리 도입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로봇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
로봇의 개발이 인간의 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인간이 할 수 없었던 것을 할 수 있게 되었다 ->7. 연구
- 과도한 노동 강도, 안전하지 않은 노동 환경으로 인해 인간이 하기 힘들던 것을 하기 쉽게 되었다 -> 5. 농업, 6. 경비 및 보안
- 정밀한 작업을 하기 쉽게 되었다 -> 4. 의료 및 간호
- 인간도 무난히 할 수 있는 일을 로봇도 할 수 있게 되었다 -> 1. 공장 및 제조업, 2. 서비스업, 3. 교통 및 인프라
로봇의 장점은 하기 어려운 작업을 로봇이 대신 해주는 동안 인간은 더 고차원적인 다른 작업에 몰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에 반해 문제가 되는 것은 인간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업이나 교통 및 인프라는 노동 인구의 약 70%정도*가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2021년 기준 서비스업 고용 비중(특정 시점에 취업해 있는 인구의 비율)
서비스 직종의 일도 로봇이 대신 할 테니, 인간은 더 고차원적인 직종으로 옮기라고 하기엔 너무 많은 사람들의 생계가 걸려있지요.
서론-본론-결론에 작성할 내용 정하기
서론, 본론, 결론에서 서술할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400~500자정도로 서술해야 하므로, 500자를 초과하지 않게 글자수도 배분합니다.
구성 | 중심 내용 | 글자 수
(목표 글자 수) |
서론 | 로봇이 사회 여러 방면에 퍼지고 있음. | 21(80) |
본론 : 장점① | 사람이 수행하기에 위험한 작업을 대신 처리. | 24(50) |
본론 : 장점② | 24시간 가동이 가능. 인건비 절약. | 20(50) |
본론 : 단점① | 단순노동, 제조업, 서비스업의 일자리 감소. | 24(50) |
본론 : 단점② | 고액의 초기 도입 비용이 발생. | 17(50) |
내 생각 | 서비스업에서 로봇 활용의 장점은 고용주, 관리자 등 개인이 경험할 수 있는 데 반해, 단점은 도입이 확장될수록 사회 문제가 됨. 개인의 로봇 도입을 강제적으로 막을 수 없으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선 정부개입이 필요함. |
122(140) |
결론 | 로봇은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지만, 그와 반대로 일자리를 빼앗을 수도 있는 양날의 검. 서비스업 등의 분야에서는 당근과 채찍을 잘 활용해야 함. | 82(80) |
일본어 논술
마지막으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술 문제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사전 지식을 정리하고, 글의 뼈대를 세운 뒤 이를 바탕으로 실제로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글자 수는 약 480자이지만, 원고지에 작성하면 정확히 500자에 맞춰집니다.
하고 싶은 말이 많더라도 꼭 필요한 내용만 선별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쉽게 글자 제한 500자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글쓰기 연습을 할 때는 가능하면 원고지에 손글씨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의치 않다면 워드로 먼저 작성한 후, 원고지 레이아웃에 옮겨서 20칸 × 25줄을 초과하지 않는지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오랜만에 글을 쓰다 보니 옛 추억이 떠오르며 묘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