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문법 – [로봇 이용의 확대] 결론 분석04
안녕하세요. 아카츠키(暁)입니다.
오늘은 로봇 확신에 관한 논술 지문의 본문을 분석하는 마지막 시간입니다.
분석을 진행하면서 일본어 문법이 문장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며 시작합니다!
일본어 문법 분석 – 결론 첫 번째 문장
ロボット導入による メリットは 企業の 管理者が 直接 実感①しやすい②一方、雇用不安という ③デメリットは 重大な 社会問題を ④引き起こす 可能性が ある。
해석 : 로봇 도입으로 인한 이점은 기업의 관리자가 직접 실감하기 쉬운 한편, 고용 불안이라는 단점은 중대한 사회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
①~しやすい
「しやすい」는 동사의 연용형(連用形) + 접미사(接尾辞)「やすい」로 구성된 표현으로
する⇒し⇒し + やすい⇒しやすい 와 같이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するのが簡単である(~하는 것이 간단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반대되는 접미사로 「~しにくい」가 있습니다.
しやすい과 같은 방법으로
する⇒し⇒し + にくい⇒しにくい 와 같이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기 어렵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②一方
一方는 이전 포스팅에서 같은 용법으로 사용되어 설명한 적이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③デメリット
영어 단어 demerit를 일본어로 표기한 단어입니다.
치환할 수 있는 단어로는 短所(단점)、欠点(결점) 등이 있습니다.
반대의 뜻을 가진 단어로는 メリット가 있습니다.
④引き起こす
引き起こす는 일으키다, 발생시키다, 야기하다 라는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아래 단어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招く | まねく | 일으키다.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를 부르다 |
もたらす | – | 초래하다, 야기하다.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를 부르다 |
誘発する | ゆうはつする | 유발하다 ※긍정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상황에서 쓰는 일이 더 많습니다 |
生じる | しょうじる | (자연스럽게) 발생하다
※긍정, 부정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発生する | はっせいする | 발생하다
※긍정, 부정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雇用不安という デメリットは 社会問題を 招く 可能性が ある
- 雇用不安という デメリットは 社会問題を もたらす 可能性が ある
- 雇用不安という デメリットは 社会問題を 誘発する 可能性が ある
- 雇用不安という デメリットは 社会問題を 生じさせる 可能性が ある
- 雇用不安という デメリットは 社会問題を 発生させる 可能性が ある
招く、もたらす、誘発する는 간접적으로 사역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원형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이에 반해 生じる、発生する는 사역의 의미를 지니지 않기 때문에 させる형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만약 사역으로 변환하지 않고 사용하려면
- 雇用不安という デメリットによって 社会問題が 生じる 可能性が ある
- 雇用不安という デメリットによって 社会問題が 発生する 可能性が ある
이와 같이 인과관계를 표현하도록 「によって」를 사용하여
デメリット가 문제를 일으키는 주체임을 확실하게 해주세요.
일본어 문법 분석 – 결론 두 번째 문장
失業率の 上昇を 防ぐためにも 政府による ①適切な ②介入が ③不可欠④であり、 雇用問題への 対策⑤や 倫理的な ⑥議論が ⑦求められる。
해석 : 실업률 상승을 막기 위해서라도 정부에 의한 적절한 개입이 필수적이며, 고용문제에 대한 대책과 윤리적인 의논이 요구된다.
|
①適切な
「適切な」는 과하거나 모자람이 없이 [적절]하다는 뜻입니다.
유사한 단어로 「適当な」(적당한)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적당에는 적절처럼 딱 좋다라는 뜻도 있는 한편,
대충이라는 뉘앙스가 조금 들어있습니다.
우리가 일상 대화에서 [적당히 해~(≒대충 해)]라고 하는 것과 같습니다.
소논문과 같이 객관적인 글 쓰기에서 [적당]은 엄밀함이 부족하니 [적절] 사용해 주세요.
②介入
介入(개입)이란 어떤 문제나 상황에 제3자가 직접 관여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을 뜻합니다.
경제·사회 문제에서 정부 개입은 일반적으로 법적, 정책적, 재정적 조치를 통해 특정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의미합니다.
③不可欠
불가결이란 없으면 안 되는 것을 뜻합니다.
- 失業率の 上昇を 防ぐためにも 政府による 適切な 介入が 必要であり、 雇用問題への 対策や 倫理的な 議論が 求められる。
- 失業率の 上昇を 防ぐためにも 政府による 適切な 介入が 必要不可欠であり、 雇用問題への 対策や 倫理的な 議論が 求められる。
- 失業率の 上昇を 防ぐためにも 政府による 適切な 介入が 必須であり、 雇用問題への 対策や 倫理的な 議論が 求められる。
등과 같이 必要、 必要不可欠、 必須를 대신 사용해도 좋습니다.
강조된 정도를 따지자면 必要 < 不可欠 = 必須 < 必要不可欠 순서가 될 것 같습니다.
④であり、
첫 번째 문장「失業率の 上昇を 防ぐ ためにも 政府による 適切な 介入が 不可欠で ある」와
두 번째 문장「雇用問題への 対策や 倫理的な 議論が 求められる」 연결하기 위해
「である」를 연용형(連用形)으로 변경하고 쉼표(読点)를 찍은 형태입니다.
⑤や
や는 예시를 열거하기 위해 사용한 병렬 조사(並列助詞)입니다.
세 가지 이상 열거할 경우, 아래와 같이 쉼표를 사용해야 합니다.
- リンゴや バナナや イチゴが 好きです(x)
- リンゴや バナナ、 イチゴが 好きです(o)
- リンゴや バナナ、 イチゴ、 マンゴが 好きです(o)
병렬 조사로 「や」말고도, 「と」「か」도 있는데 의미가 조금씩 다릅니다.
- 「リンゴや バナナが 好きです」…좋아하는 과일로 リンゴ와 バナナ를 대표 예시로 사용했지만, 다른 좋아하는 과일도 존재함.
- 「リンゴと バナナが 好きです」…リンゴ와 バナナ만 좋아함.
- 「リンゴか バナナが 好きです」…リンゴ혹은 バナナ, 둘 중 하나를 좋아함.
⑥議論
의논(議論)이란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고, 그에 대해 찬반이나 다양한 관점을 나누며 심도 있게 토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뒤 한자 순서를 바꾼 논의(論議)라는 단어로 대체해도 무방합니다.
논의는 의견 교환을 하며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시간을 보내는 것,
의논은 각각 서로의 의견을 내고, 최종적으로 한 개의 의견으로 이끄는 것*까지를 뜻한다고 합니다.
*끝장토론..?
근데, 보통 의논과 논의는 서로 뜻이 거의 유사하므로 이렇게까지 엄밀하게 구분해서 사용하진 않으셔도 될 것 같아요.
⑦求められる
求められる는 원형 求める의 수동태(受動態)로, [요구된다]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유사한 표현으로 필요하다(必要である)로 대체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만약, ③不可欠 대신에 必要를 사용한 경우, 중복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失業率の 上昇を 防ぐためにも 政府による 適切な 介入が 必要であり、 雇用問題への 対策や 倫理的な 議論が 必要である。(△)
마지막으로
로봇 확신에 관한 논술 지문의 문법을 4번에 걸쳐 분석해 보았습니다.
되도록 꼼꼼하게 하려고 노력했는데, 잘 이해가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앞으로도 주기적으로 지문을 작성하고, 그 글을 분석하겠습니다.
이해가 잘 가지 않는 부분이나 다른 의견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